1) 마을의 자연환경
채약산에서 정면으로 뻗은 산맥이 급히 낮아져서 구릉지를 형성하고 또 들을 이루고 있다. 동서남 3면이 산으로 병풍처럼 둘러싸여있고 늪과 못이 많으며 오현제(五鉉堤)에서 발한 개울은 마을 중앙을 흐르고 있다. 구릉이 전개되어 주위는 매우 아름답다. 특히 마을 동서간에 높이 솟은 채약산은 그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2) 마을의 역사
▶ 대배(大拜) 윗마을과 아랫마을 두 마을이 모여 동네를 이루었다. 마을 앞에 언덕이 있는데 언덕의 바위가 큰절을 하고 있는 것 같다 하여 대배라 했다 한다. 대배 윗마을에 암자가 있으며 그 암자에 기원하면 소원이 성취된다고 한다.
▶ 유곡(幽谷) 채약산 밑에 있는 이 마을이 골짜기를 이루고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마을 어귀에 쌍효비각(双孝碑閣)이 세워져 있다.
▶ 대곡(大谷)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칠백면 지역에서 금호읍에 편입될 때 대배(大拜)의 대(大)자와 유곡면(幽谷面)의 곡(谷)자를 따서 두 동네를 합하여 대곡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3) 마을의 특징
- 전설 : 마을 입구에 있는 쌍효각은 조선 철종 때 이 마을에 살던 경주김씨의 김언공(金彦恭) 선생과 부인 용궁전씨가 부친의 병 치료를 위해 채약산 산신령께 정성껏 기원했더니 그날 신령이 감동하여 굵은 산삼 한 뿌리를 주어서 그것을 정성껏 다려 드렸더니 병이 치료되었다.
효행이 상부에 알려지자 경상감사와 암행어사가 상을 내렸다고 한다. 자손들이 쌍효각을 건립할 형편이 못될 정도로 가난하여서 1950년대에 와서 처음 이 쌍효각을 건립하여 인근사람을 위시하여 경향각지에서 내외의 효행을 찬양하고 있다.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6. 어은리(魚隱里) (0) | 2011.11.13 |
---|---|
45. 호남리(湖南里) (0) | 2011.11.13 |
43. 약남리(藥南里) (0) | 2011.11.13 |
42. 구암리(龜岩里) (0) | 2011.11.13 |
41. 황정리(凰亭里) (0) | 201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