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연환경
봉동은 북안천(北安川)변에 자리 잡은 동네다. 동쪽은 채약산(菜藥山)에서 흘러내리는 북안천이 합류하며 그 주위에 작은 평야가 펼쳐져 있고 서쪽과 남쪽은 개봉산(開峯山) 일명 개방산이 나지막이 감싸고 있다. 또한 북쪽은 북안천이 동서로 흘러 작산과 경계를 이루고 서쪽은 청제평을 사이에 두고 도남동과 구분되고 있다.
2) 마을의 역사
▶ 봉골<鳳谷>ㆍ봉곡ㆍ봉동(鳳洞)ㆍ예봉(禮奉)ㆍ봉강(奉崗) 세종조에 성균관 학유를 지낸 서도(徐渡)라는 사람이 이곳으로 이주하여 살면서 예를 숭상함이 지극하였다 하여 예봉 혹은 봉강이라 불려오다가 고종 3년 서유대(徐惟垈)가 낙향하여 유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정자를 지었다. 그 정자 옆의 우거진 대나무 숲에 봉황새가 아침마다 울고갔다하여 그 후에 봉동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뒷삐알ㆍ승일원(昇日圓) 뒤일 못이 있다 하여 뒷삐알이라고 했으며 봉동마을 남쪽 약간 언덕진 곳에 몇 가구씩 흩어져 살고 있었으나 가구수가 늘어남에 따라 현재는 한 동네를 이루었다.
▶ 설못안ㆍ사제내(笥堤內) 봉동 동쪽에 위치한 촌락으로 창녕성씨의 죽오정(竹塢亭)이 있었고 9가구가 살고 있었으나 울진ㆍ삼척지구 간첩침투사건 이후 독가촌 정리 때 다른 곳으로 이주하고 현재는 설못만 남아있다.
▶ 원봉동(元鳳洞) 봉동의 중심마을로 본래 영천군 예곡면의 지역으로서 봉곡 또는 봉골이라 하였으며 뒷삐알ㆍ사제내ㆍ신당골이 있다.
▶ 신당골 원래 신당이 있어 지칭된 지역이다.
▶ 정모랭이 옛날 이동네 사람이 죽었는데 마침 이 지역에서 상여가 움직이지 않아 마을사람들이 눈물을 흘리며 잘 가기를 빌어 간신히 상여가 움직였다고 한다. 그래서 정을 두고 돌아가는 길이라 하여 지칭된 명칭이라고 한다.
행정적으로는 원래 봉동으로 예곡면에 소속되었으나 1914년 개편과 함께 주막동(酒幕洞) 일부와 합하여 영천면에 속하였다. 1981년도에 영천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새로 지칭된 봉작동에 속하였다가 지금은 남부동에 소속되어 있다.
전설 - 이웅덩이와 어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봉동 앞을 흐르는 북안천 한 자락에 명주실 한 꾸러미를 드리워도 밑에 닿지 않는다는 웅덩이가 있었다고 전한다. 옛날 이 부근에 다복한 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하루는 남편이 나라의 부름을 받고 변방수비대로 떠나게 되었다.
남편은 발길을 옮기면서 아내에게 만약 내가 죽게 되면 뒤편의 대밭이 붉게 말라죽을 것이라고 일러주었다. 아내는 남편이 떠난 후 매일같이 무운장구를 비는 치성을 올렸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어느 날 밤사이 대밭이 발갛게 말라버렸다.
아내는 남편이 없는 세상에 살아서 무엇 할 것이냐며 드디어 죽을 결심을 하고 목을 매었다. 그런데 난데없이 까마귀 떼가 몰려들어 밧줄을 물어뜯어 죽지를 못했다. 그때 꿈처럼 들리는 소리가 있었는데 남편의 원수를 갚아주기 위해서도 당신은 살아있어야 한다는 말이었다. 또 반드시 그날은 찾아올 것이라고 했다.
결국 죽지도 못하고 혼자 살아가면서 외롭고 무료한 시간을 달래는 방법으로 미친 듯이 삽으로 강가에 웅덩이를 파기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꿈에 남편이 나타나 이제 원수를 갚을 기회가 왔다면서 술을 담그라고 했다.
아내는 시키는 대로 술을 담그고 음식을 준비하며 그날이 오기를 기다렸다. 며칠 후 신통하게도 오랑캐들이 몰려들었다. 무리들은 사정없이 사람을 죽이고 재산을 불살라버리는 만행을 저질렀지만 그녀는 조금도 동요하지 않고 그들을 달래며 푸짐하게 술을 대접하였다. 아니나 다를까 오랑캐들은 흠뻑 취하여 모두가 인사불성이었다.
그녀는 정신을 가다듬고 동에 장정들과 함께 오랑캐를 모두 그녀가 파놓은 웅덩이에 모두 수장시켜 남편의 원한을 풀어주었다. 훗날 사람들은 오랑캐를 무더기로 수장한 곳이라 하여 이(夷)웅덩이라 부르며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작산동(鵲山洞) (0) | 2011.11.13 |
---|---|
29. 채신동(采新洞) (0) | 2011.11.13 |
27. 본촌동(本村洞) (0) | 2011.11.13 |
26. 범어동(泛魚洞)| (0) | 2011.11.13 |
25. 도동(道洞) (0) | 201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