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연환경
채약산이 북으로 뻗어 내린 일지맥에 동향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즉 개봉산(開峯山)을 중심으로 북쪽은 봉동, 서쪽은 도남동, 동쪽은 본촌동이다. 동쪽은 채약산에서 흘러내린 실개천을 따라 넓지 않은 평야가 펼쳐져있고 서쪽은 개봉산이 버티고 있다. 그리고 남쪽은 높지 않은 산자락을 따라 나란히 채신동과 인접하고 북쪽은 봉동과 접하고 있다.
2) 마을의 역사
▶ 독지뱅이<독조(獨釣)> 흐르는 내가 마을 뒤에 있는 암석에 부딪쳐 조그마한 못을 이루었는데 이곳에서 옛 성현들이 낚시질을 했다 하여 독조암(獨釣岩)이라 하였다. 세월이 흘러 못이 없어지고 약70여 년 전에 집이 들어서면서 독지뱅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예실(禮實)ㆍ예곡(禮谷)ㆍ본촌(本村) 예를 숭상하는 마을이라 하여 예실이라 부르다가, 영천군 예곡면사무소가 있을 때에는 예곡이라 불렸으며 1914년 군면 폐합 때 예곡의 본동이라 하여 본촌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원래 이 마을은 예실이라 불렀다. 담들, 오실들, 뱅방골, 고래천 등 자연지역을 통칭하여 동네를 이루고 있다. 담들은 예실못 둑을 지칭하여 생긴 명칭이다. 구전에 유씨라는 분이 살았는데 못을 막고는 후손이 끊어지고 살림이 줄어들어 다른 곳으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이유인즉 유씨의 선조 유택이 마침 벌과 같은 형세이므로 못을 막고 나니 벌이 못에 빠지는 형상이었다는 풍수지리설 때문이다.
또 뱅방골은 마을의 어떤 사람이 나들이를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도깨비에게 정신이 빼앗겨 밤새도록 주위를 뱅뱅 돌고 있었다 하여 지칭된 명칭이라 한다.
이 부락은 1914년 행정개편 전에는 예곡면 소재지가 있었고 개편 후에는 영천면에 속하였으며 1981년 영천읍이 시로 승격되어 영도동(永都洞)이 신설되면서 동(洞) 소재지가 되었으며 지금은 남부동에 속해있다.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 채신동(采新洞) (0) | 2011.11.13 |
---|---|
28. 봉동(鳳洞) (0) | 2011.11.13 |
26. 범어동(泛魚洞)| (0) | 2011.11.13 |
25. 도동(道洞) (0) | 2011.11.13 |
24. 도남동(道南洞) (0) | 201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