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을의 자연환경
영천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때 이수삼산(二水三山)이라고 한다. 이수는 남천과 북천을 말하고 삼산은 마현산, 작산, 유봉산을 지칭한다. 작산동은 바로 그중 작산을 서쪽 배경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동쪽은 북안천이 흐르고 북쪽은 멀리 금강산이 돌아가고 있다. 또한 남쪽은 봉동과 연결되어 좁고 비옥한 평야를 펼치고 있다.
2) 마을의 역사
▶ 가침재ㆍ작침(鵲寢)ㆍ작산(鵲山) 작산에 있는 가침재 밑이 되므로 가침재라고 하여 마을 뒷산의 형상이 마치 까치가 잠잘 때 꼬리부분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 주막거리(酒幕-) 옛날 역과 역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출장중인 관청의 공직자가 쉬어가도록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만들어놓은 일종의 여관 또는 여인숙 비슷한 주막이 있었던 마을이라 하여 주막거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후일에는 일반인들도 이용할 수 있었고 근대 교통이 발달하면서 시골의 술집으로 변하였다고 한다.
마을의 명칭인 작산(鵲山)의 이름을 딴 것이고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다는 흔적을 고인돌 등에서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동네의 형성과정이나 어느 사람이 먼저 들어와 살았는지는 구전도 전하지 않는다. 다만 속칭으로 가치미와 주막거리가 있으므로 그만한 역사는 간직하고 있다고 믿어진다.
가치미는 까치라는 말과 같으므로 작산을 일컫는 것이다. 즉 작산동에서 영천 소재지로 향하는 고갯길로서 큰 마을에 해당되고 주막거리는 옛날 역참 역할을 한 지역이다. 그리하여 작산동과 주막동(酒幕洞)이 행정명칭으로 명명되고 예곡면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개편 때는 영천면에 속하였고 1981년 영천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다시 신설된 봉작동(鳳鵲洞)에 속하였다가 1998년 10월부터 남부동에 속해있다.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교대리(橋垈里) (0) | 2011.11.13 |
---|---|
금호읍(琴湖邑) (0) | 2011.11.13 |
29. 채신동(采新洞) (0) | 2011.11.13 |
28. 봉동(鳳洞) (0) | 2011.11.13 |
27. 본촌동(本村洞) (0) | 201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