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문화유산 자료/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31. 교대리(橋垈里)

이원석(문엄) 2011. 11. 13. 08:52

1) 마을의 자연환경

북으로는 봉수산(烽燧山)의 봉우리와 동으로는 채약산(採藥山)의 꼭대기가 선명하게 보이며 서남쪽으로는 경산분지와 연결되어서 넓은 평야가 전개되어 대구 앞산과 연이어진 멀고 높은 산봉우리가 보인다.

남으로는 금호(琴湖江)이 유유히 흐르고 강 건너편에는 들을 지나 구릉지대가 형성되어 있어 교통의 요지요, 농산물의 생산이 풍부하여 예부터 사람들의 행적이 많은 지대이다.

옛날에는 늪, 호수, 수로 등이 정리되지 않아서 자연 그대로 볼품이 없었으나 사람들이 정착하고부터는 점차 정리되었다.

2) 마을의 역사

용교(龍橋)와 용대(龍垈)로 이루어진 읍 소재지의 마을이다. 교통의 요지이고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수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개화된 후 면소재지로서 점차 번창하였고 현재는 읍 소재지가 되었다.

▶ 인기리(仁基洞) 마을 앞으로 조그마한 하천이 흐르고 있는 이 마을은 경주이씨가 최초로 개척하여 바르고 어진 사람들이 많이 태어나라고 인기(仁基)라 불렀으나 해방 후 교대동(橋垈洞)으로 개칭되었다가 1955년에 교대3동으로 분리되었다.

▶ 용대(龍垈) 조선시대 황윤신(黃允信)이라는 선비가 우연히 이곳을 지나다가 지형을 살펴보니 용이 누워있는 형상이라 하여 이 자리에 마을을 이룩하면 만석꾼이 날 자리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그 후 영천최씨가 이곳을 개척하여 살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창포(菖蒲) 120여 년 전부터 이곳에 중보(中洑)가 있어 중보들이라 하였으나 가옥이 들어섬에 따라 교대2동에 소속되어 시장터로 바뀌었다. 옛날에는 이곳 중보에 창포가 많아서 이곳을 창포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 중뽀ㆍ중보(中洑) 교대동의 중심마을인 용대(龍垈)마을 동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마을 가운데를 흐르는 내에 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 성천리(成川里)  (0) 2011.11.13
32. 덕성리(德城里)  (0) 2011.11.13
금호읍(琴湖邑)  (0) 2011.11.13
30. 작산동(鵲山洞)  (0) 2011.11.13
29. 채신동(采新洞)  (0) 201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