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을의 자연환경
운주산에서 발한 일지맥이 서쪽으로 힘차게 뻗어 두 갈래로 갈라져서 그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높은 연봉을 이루어 상, 중, 하의 3개 자연부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1974년 10월에 중구미(中龜尾)와 상구미를 제외하고 모두 수몰되고 말았다.
2) 마을의 역사
▶ 안구미ㆍ앙뀌미ㆍ안귀미ㆍ상뀌미ㆍ상구미(上龜尾) 삼귀리(三龜洞)의 자연부락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여 약 320여 년 전에 김만태(金萬泰)라는 선비와 김시영(金始永)이라는 선비가 함께 이 마을을 개척하고 마을의 지형이 거북의 꼬리와 같다하여 상구미(上龜尾)라고 하였다. 주성은 용궁전씨(龍宮全氏)와 오천정씨(烏川鄭氏)이다.
▶ 중뀌미ㆍ중구미(中龜尾)ㆍ중귀리(中龜里) 상구미와 수몰된 하구미의 중간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오천정씨와 용궁전씨가 주성을 이루고 있다. 하구미도 있었으나 영천댐 건설로 완전히 수몰되고 말았다.
3) 마을의 특징
- 송암정(松巖亭) : 순조시대의 학자인 정호로(鄭夏潞) 선생의 정자
- 원모재(遠慕齋) : 명조 때의 참봉인 김응정(金應挺) 선생과 임란의병인 김인(金演) 선생의 재사
- 추모당(追慕堂) : 영조 때 학자인 정중교(鄭重喬) 선생의 정자
- 확은정(確隱亭) : 고종시대 덕성과 문장으로 뛰어난 정진소(鄭鎭韶) 선생의 강학소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고면(臨皐面)| (0) | 2011.11.14 |
---|---|
127. 보현리(普賢里)| (0) | 2011.11.14 |
125. 용산리(龍山里) (0) | 2011.11.14 |
124. 충효리(忠孝里) (0) | 2011.11.14 |
123. 용화리(龍化里) (0) | 2011.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