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북습면(北習面)과 산저면(山底面)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1914년 북습ㆍ산저 2개면과 죽남(竹南)ㆍ아촌(牙村)면의 일부를 폐합하여 조선조 때 청통역(淸通驛)의 이름을 따서 청통면이 되었다.
현재 신학(新鶴)ㆍ치일(治日)ㆍ애련(愛蓮)ㆍ계포(桂浦)ㆍ호당(虎堂)ㆍ우천(牛川)ㆍ송천(松川)ㆍ보성(甫城)ㆍ신덕(新德)ㆍ용천(龍川)ㆍ신원(新源)ㆍ계지(桂芝)ㆍ대평(大平)ㆍ죽정(竹井)ㆍ원촌(院村) 등 15개리로 구성된다.
면적은 67㎢이고 인구는 4,800여명이며 시내에서 서쪽으로 약13㎞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지형은 서부산지ㆍ중앙분지ㆍ봉화산(烽火山, 299m)을 경계로 동부의 구릉성 산지로 구분되며, 태실봉(胎室峰) 동쪽에서 발원하는 청통천(淸通川)은 중앙부의 침식분지를 관류하여 남류하다가 금호강에 유입된다.
은해사를 중심으로 한 팔공산 동쪽 기슭은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명승지이고 대평리에 소재한 풍락제(豊樂堤)가 유명하다.
주요 문화재로는 조계종 제10교구 본산인 은해사를 비롯해 거조암 영산전(국보 제14호), 백흥암 수미단(보물 제405호), 운부암 청동보살좌상(보물 제514호)과 중암암이 팔공산 동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본래 북습면(北習面)과 산저면(山底面)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1914년 북습ㆍ산저 2개면과 죽남(竹南)ㆍ아촌면(牙村面)의 일부를 폐합하여 조선조 때 청통역(淸通驛)의 이름을 따서 청통면이 되었다.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3. 계포리(桂浦里) (0) | 2011.11.13 |
---|---|
52. 계지리(桂芝里) (0) | 2011.11.13 |
51. 삼호리(三湖里) (0) | 2011.11.13 |
50. 남성리(南星里) (0) | 2011.11.13 |
49. 신대리(新垈里) (0) | 201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