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문화유산 자료/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203. 조곡리(助谷里)

이원석(문엄) 2011. 11. 17. 17:40

 

1) 마을의 자연환경

금박산에서 동으로 뻗은 산맥이 남쪽으로 연이어져 있고 북쪽 마을입구는 매우 좁아서 병모양이고 동쪽과 서쪽은 구릉지로 형성되었으며 안 못에서 발한 계천(溪川)은 마을 중앙을 흐르고 있다. 사방이 산으로 가로막혀서 작은 분지형을 이룸으로써 예부터 오목한 곳이었지만 하조곡(下助谷)은 넓은 평지에 있다.

 

2) 마을의 역사

▶ 건지발(乾地發)ㆍ하조리(下助里) 풀은 마른 풀이나 꽃이 피고, 토질은 메마르나 풀은 무성하게 잘 자란다는 뜻으로 건지발이란 이름이 지어졌고, 상조리 아래에 자리잡고 있다.

 

▶ 좀실ㆍ상조리(上助里) 건지발 남동쪽에 위치하고 골짜기가 길어 웃마와 아랫마로 나누어 부르기도 한다. 좀실이란 명칭은 마을 사람보다 먼 거리의 외부인들이 많이 쓴다. 옛날 활빈당이 이곳에 와서 불을 놓고 기(旗)를 꽂았다는 사람도 있다. 마을 입구에는 김해김씨의 재실이 있다.

 

3) 마을의 특징

- 조곡리 지석묘군(支石墓群) : 조곡리 741번지 들 복판에 자연석으로 된 남방형 지석묘 10여기가 일직선으로 있는데 크기는 대충 1~2m의 높이와 2~3m의 폭으로 되어있다.

- 영은정(永隱亭) : 인조 때 울진현감, 강릉군부사를 역임한 김의경(金義慶) 선생을 추모한 정자

- 추모재(追慕齋) : 대과에 급제, 참의를 역임한 조섭안(曺燮安) 선생과 예종 때 문과에 급제, 통정대부를 지낸 아들 조석보(曺碩輔) 선생의 재사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5. 대재리(大才里)  (0) 2011.11.17
204. 구지리(求芝里)  (0) 2011.11.17
202. 신광리(新光里)  (0) 2011.11.17
201. 용호리(龍湖里)  (0) 2011.11.17
200. 오길리(五吉里)  (0) 2011.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