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을의 자연환경
북쪽에 웅장한 보현산이 거대한 벽처럼 우뚝 솟아 마을을 감싸듯 품고 있고 기룡산맥(騎龍山脈)이 서쪽으로 뻗어 힘차게 달리고 있어 한마디로 산 높고 골 깊어 심심산곡(深深山谷)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횡계천(橫溪川)의 상류가 보현산에서 발원하여 마을 한가운데를 옥석 같은 바위틈을 비집고 흘러 산수의 조화가 한 폭의 그림같이 어우러진 전형적인 산골이며 6개 자연부락으로 형성되어 있다.
2) 마을의 역사
▶ 견암(見岩) 420여 년 전에 허씨(許氏)가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하는 이 마을은 정각리로 들어가는 어구에 있으며, 동쪽 산비탈에 바위들이 많이 보여 견암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마을 뒤쪽에 어느 시대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돌로 성을 쌓은 흔적이 있다고 한다.
▶ 동사(洞舍) 오래된 고가를 동사무소로 사용하여 오다가 30여 년 전에 동사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로 주택들이 들어선 마을이기 때문에 불리어진 이름이라 한다.
▶ 새각단ㆍ신리(新里) 조선조 말엽에 처음 생긴 마을로 외지에서 여러 성씨가 한둘씩 모여 새마을을 이루었다고 신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양지(陽地) 320여 년 전 구규징(具規徵)이란 선비가 벼슬을 마다하고 이곳에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하며 햇볕을 많이 받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도로에서 400m 정도 들어간 아래산(阿來山) 기슭에 있어 경사가 심하다. 주로 밭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으며 이 고장에서 가장 먼저 정착하여 살았다고 한다.
▶ 양촌(兩村) 음평양촌(陰平兩村)의 준말로 음지와 평지가 내를 사이에 두고 분기(分岐)하여 있는데, 두 곳을 합하여 양촌이라 부르고 있다.
▶ 절골ㆍ사곡(寺谷) 520여 년 전 신라말엽 이곳에 절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지금도 주춧돌과 기와조각을 볼 수 있다. 절터 맞은편에 탑이 있었다. 원래는 자양면 보현리 탑정(塔亭)에 있던 것을 어떤 스님이 옮겨왔다 한다.
▶ 가락골<추곡(楸谷)> 횡계지(橫溪池)안 마을입구에 마을이 있었으며 몇 가구가 살았으나 정부의 취약지(脆弱地) 대책사업으로 철거하고 현재는 사람이 살고 있지 않다.
3) 전설
- 상망등(相望登) : 옛날에 부모가 출타하면 형제가 번갈아가며 바라는 고개라 하여 상망등이라 전한다.
- 범굴바위 : 옛날에 범이 새끼를 치고 살았다하며 1920년경까지 범이 살았다고 전한다. 그 굴은 장정 8명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넓었다고 한다.
4) 마을의 특징
- 정각리 삼층석탑 : 삼국시대 및 고려 초기 시대에 지어졌으며 높이는 3.7m, 화강암이 사용되었으며 현재의 탑은 2층 기단에 3층 탑신을 올렸는데 3층은 옥신(屋身)까지만 있고 3층 옥계석은 탑 옆에 떨어져 있지만 상륜부(相輪部)의 부재는 하나도 없다.
하층기단은 전체가 4개의 돌로 짜여 있는데 저석(底石), 면석(面石), 면석받침, 갑석(甲石)을 모두 한 돌에 각출하였다. 면석 괴임은 일반적인 석탑양식과 마찬가지로 몰딩이 되어있다. 다만 연화괴임, 안상 등 특이한 장식은 이색적인 형식이다.
- 이양재(尼陽齋) : 조선 숙종 때 문인으로 양수선생과 우의가 두터웠던 구규징 선생의 재사
- 보현산구들뼈(온돌석) : 보현산중턱에서 생성되는 온돌석은 그 질이 좋아 1970년대에는 하루 10여차정도 반출되어 전국 각지에서 온돌석으로 이용되어 왔다.
마을 주위의 불교 지명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보현산(普賢山), 법화(法華), 정각(正覺), 원각(圓覺), 묘각(妙覺) 등의 지명이 모두 불교에서 온 내용이다.
보현보살은 자비(慈悲)의 보살이다. 법화(法華)는 묘법화엄경(妙法華嚴經)에서 온 문구로서 이 경문(經文)을 [Saddharan apundork- iasutra]라 하며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하나로 중국의 나십(羅什)이 번역한 책인데 8권(卷) 28품(品)으로 되어 있으며 가성(迦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의 본도(本道)를 말한 것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며 법화경(法華經)이라고도 한다.
-정각(正覺) : 바른 깨달음, 곧 망혹(妄惑)을 단멸(斷滅)한 여래(如來)의 참되고 바른 각지(覺智)
-묘각(妙覺) : 보살의 52위의 맨 뒷자리, 곧 불과(佛果), 정각(正覺), 경각(經覺)
-원각(圓覺) : 석가여래의 각성(覺性), 원만(圓滿), 주비(周備)하여 조금도 결멸(缺滅)이 없는 우주의 신령스런 깨침
이상의 여러 지명이 있는 곳이 정각리 근처의 산, 마을, 사찰(암자)의 이름들이다. 과거나 현재의 불교의 성지라 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3. 공덕리(公德里) (0) | 2011.11.14 |
---|---|
102. 횡계리(橫溪里)| (0) | 2011.11.14 |
100. 죽전리(竹田里) (0) | 2011.11.14 |
99. 상송리(上松里) (0) | 2011.11.14 |
98. 하송리(下松里) (0) | 2011.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