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을의 자연환경
태백산맥(太白山脈)의 준봉(峻峰)인 보현산맥(普賢山脈)의 지맥이 서쪽으로 뻗어 마을의 뒤를 막아주고 있고 기룡산맥(騎龍山脈)의 지맥이 마을의 앞을 막아 서쪽으로 뻗어 있다. 정각리(正覺里) 보현산(普賢山)에서 발원한 횡계천(橫溪川)과 노고령(老古嶺)에서 발원한 고현천(古縣川)이 옥계(玉溪)에서 합류하여 마을 앞을 가로질러 흐르고 있는 비옥한 분지로 형성되어 예부터 사람이 살기에 좋은 곳으로 알려져 왔으며 화북면의 소재지이다.
2) 마을의 역사
▶ 잘내ㆍ자을천(慈乙川) 옛날 보현산을 모자산(母子山)이라 하였고 이 마을 앞내를 자을천(慈乙川)이라 하여 이 마을을 잘내 또는 자을천이라 부르다가 언제부터인지 알 수 없으나 자을천의 을자를 빼고 자천이라 개칭하였다 한다. 자천이라 부르는 지역은 서부(西部)ㆍ동부(東部)ㆍ중계(中溪)ㆍ대제(大堤) 일부를 합쳐서 자천이라 통칭하였고, 지금은 서부리를 자천1리, 동부리를 자천2리, 중계와 대제 일부를 자천3리라 부르고 있다.
▶ 서부리 420여 년 전 지금의 곤곡(昆谷)에 처음 마을이 개설되었으나 점점 인가가 서쪽으로 이전되어 면소재지가 되었으며 지금은 서부리라는 명칭은 사라지고 자천1리로 통칭되고 있다.
▶ 고수ㆍ고암(高岩)ㆍ동부리 옛날에는 고수리라고 부르다가 여씨(呂氏)ㆍ정씨(鄭氏)가 이 마을에 거주하면서 고암리라 하였다가 그 후 동쪽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동부리로 개칭하였다. 현재 동부리란 명칭은 사라지고 자천2리로 통칭하고 있다.
▶ 중계(中溪) 옛날에는 마을의 앞 뒤쪽으로 내가 흘러 마을이 하천 중간에 위치한 관계로 중계라 하였다. 현재는 하천은 없어지고 큰 마을과 합쳐 자천3리로 부르고 있다.
3) 마을의 특징
- 오리장림(五里長林) : 마을 입구에 있는 자천숲을 오리장림이라고도 하는데 그 길이가 2㎞에 달했다고 하여 오리장림이라 불렀다고 한다.
- 여지(呂知)고개 : 지금의 고수곡에 옛날에 여씨(呂氏)가 마을을 개척하여 이 고개를 넘나들었다고 하여 여지고개라고 한다.
- 봉림사(鳳林寺) : 자천1리(900m)의 계곡에 위치하고 있으며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약1200여 년 전에 지금의 법화리(法華里) 보현산(普賢山) 중턱에 자리 잡고 있었고 법화사(法華寺)라 칭하였다고 하며 현 위치로 이건하게 된 내력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전설이 있으나 절에 재앙이 잦아 옮긴 것으로 추측된다.
1742년(영조 18)에 이곳으로 옮겨 봉림사라 부르게 되었고, 천년고찰로서 은해사말사로 제 10교구에 속해있으며 보물급 탱화가 있고 국도에서 3km의 진입로가 1990년에 포장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봉림사불탱(鳳林寺佛幀) : 조선조 1700-1800년대 한지(한지)에 그린 작품으로 크기는 ① 370×450㎝ ② 1714×128㎝ ③ 79×99㎝이다. 봉림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정으로서 비교적 정교한 성화다.
- 서암정사(西巖精舍) : 조선조 철종 때 학사로 부친인 서재신 선생의 정신을 이어 받아 35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서집을 남긴 서수석(徐壽錫) 선생의 정사
- 봉양서당(鳳陽書堂) : 조선조 헌종 때 문인이자 교육자였으며 더욱 경학에 전력한 서재신(徐載信) 선생이 건립한 서당으로 많은 인재가 배출되었다.
- 보본당(普本堂) : 오천정씨 정동형씨의 가묘. 사대조(四代祖)까지의 위패가 봉안되므로 직손(直孫)이 모시지 못할 경우 차손(次孫)이 제천하며 봉사(奉祀)하는 가묘
- 봉성서당(奉先書堂) : 영조시대 사간원 사간을 역임한 서락순(徐洛淳) 선생의 부친인 서성제(徐聖躋) 선생이 지은 서당
- 임강정(林岡亭) : 숙종 때 증직으로 가선대부를 받은 이정미(李貞微) 선생의 정자
- 동제(洞祭) : 자천숲에서 매년 음력 정월대보름에 동제를 지냈으나 1972년도 새마을 운동이 전국적으로 시작되면서 그 후 몇 해를 더 지속하다가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 전적지 : 6ㆍ25전쟁 중 한때 인민군에 점령당했던 적이 있으며 영천사수를 위해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던 곳으로서 수복 후 폭격으로 인한 폐허화된 마을과 방어호 등을 목격할 수 있다.
'영천 문화유산 자료 > 영천 지명유래 및 마을변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 입석리(立石里) (0) | 2011.11.14 |
---|---|
94. 옥계리(玉溪里) (0) | 2011.11.14 |
화북면(華北面) (0) | 2011.11.14 |
92. 용평리(龍坪里) (0) | 2011.11.14 |
91. 부계리(富溪里)| (0) | 2011.11.14 |